수안상사하병두010 8899 8190

하이브리드 세라믹 표면강화 폴리싱 크리트 물류창고 주차장 공장바닥 시공전문

기술자료(통합)

햇썹(HACCP)관련 용어

하병두 2013. 1. 5. 10:56

**이 자료는 서림종합건설(주)의 홈페이지(www.slcons.co.kr)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식품의 원료관리, 제조·가공·조리 및 유통의 모든 과정에서 위해한 물질이 식품에 혼입되거나 식품이 오염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기준을 말한다.

위해요소
(Hazard)

식품위생법 제4조(위해식품등의 판매등 금지)의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인체의 건강을 해할 우려가 있는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인자나 조건을 말한다.
위해요소분석
(Hazard Analysis)
식품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해요소와 이를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평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중요관리점
(Critical Control Point:CCP)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을 적용하여 식품의 위해요소를 예방하거나 허용수즌 이하로 감소시켜 당해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단계 과정 또는 공정을 말한다.
한계기준
(Critical Limit)
중요관리점에서의 위해요소 관리가 허용 범위 이내로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나 기준치를 말한다.
모니터링
(Monitoring)
중요관리점에 설정된 한계 기준을 관리하고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계획된 관찰이나 측정하는 행위등을 말한다.
개선조치
(Corrective Action)
모니터링 결과 중요관리점의 한계기준을 이탈할 경우에 취하는 일련의 조치를 말한다.
검증
(Verification)
위해요소 중점관리계획이 적절한지 여부를 장기적으로 평하가는 일련의 활동(적용 방법과 절차, 확인 및 기타 평가등을 수행하는 행위를 포함)을 말한다.
문서화 기록유지
(Documentation & Record Keeping)
영업장에서 HACCP 관리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HACCP관리계획을 문서화 하고 HACCP 관리계획에 의해 발생하는 기록들을 보관, 유지하는것을 말한다.
HACCP 관리계획
(HACCP Plan)
식품의 원료 구입에서부터 최종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위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요소를 사전에 확인하여 허용 수준이하로 감소시키거나 제거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HACCP적용 원칙에 따라 제공·가공·조리(유통단계포함) 공정관리를 위하여 작성된 문서나 도표 또는 계획을 말한다.
선행요건 해당 영업장에 HACCP를 적용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하는 일반 위생관리기준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