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FACE CONSULTANTS)
SOG (Slab on Grade)라고 부르는 슬라브 디자인은 1990년 후반부터 물류센터나 공장 바닥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이제는 하나의 디자인으로 자리잡았습니다.
SOG는 일반 Pile 구조와는 다르게 Pile이 아닌 Sub Grade (지반)가 하중을 직접 받는 형태의 슬라브를 이야기 합니다.
국내에서는 SOG라는 명칭 이외에도 지반 슬라브 혹은 지반지지슬라브라고 부르기도 하더군요.
SOG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이 매우 중요하기에 설계단계에서 확인하고 적용 가능성을 살펴봐야 합니다.
1. K value (지반반력계수)
K value는 흔히 하는 soil bearing test에서 얻어지는 지내력 (bearing capacity)와는 다른 의미입니다. 말 그대로 지반이 반력하는 정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K value가 0.035N/mm3이상이면 SOG 슬라브를 적용해도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평판재하시험하는 분들께 지내력이 아니라 K value를 계산해달라고 하면 해주시지요.
2. Point Loading (집중하중)
물류창고나 공장바닥에 발생하는 하중은 등분포하중이 아니라 집중하중입니다. 물류창고에 설치되는 rack이나 운행하는 장비, 설치되는 기계들의 대부분은 point loading입니다.
3. Sub Base (잡석다짐)
SOG slab에서 Sub Base는 매우 중요합니다. Sub Base는 매우 단단하고 평탄하게 다짐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Sub Base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이지요.
- slab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에
- Sub Base 위에 바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보통 레미톤 트럭이 현장안에 진입을 합니다. 트럭이 진입해서 운행을 하더라도 Sub Base가 손상이 되서는 안되기에 단단해야 합니다.
- 설계된 slab의 최소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평탄해야 합니다. (+0 / -25mm level)
4. Joint
일반적인 SOG slab는 ground beam, column 등의 고정된 건축물과 분리되어 자유롭게 건조수축이 일어나도록 디자인됩니다. 그래서 construction joint는 일반 joint가 아닌 Formed Joint라고 부르는 Joint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며 Saw Cut이라고 부르는 Induced Joint (분리Joint)는 6m단위로 시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5. Reinforcement
SOG slab에 자주 상부와 하부에 철근을 적용하는 디자인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 철근을 전체 slab영역에 걸쳐 연결시키도록 합니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Reinforment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SOG는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concrete의 건조수축이 일어나도록 하여 slab 표면의 crack을 최소화 하는 디자인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상부와 하부에서 철근이 붙들고 있다면 slab가 자유롭게 건조수축을 할 수가 없겠지요. 그럼 crack이 발생하게 될겁니다.
그리고 saw cut도 역할을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기술자료(통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폭시와 무기질의 간이식 내산성 비교 (0) | 2010.12.06 |
---|---|
무기질바닥재의 내오염성 확인 동영상 (0) | 2010.08.17 |
친환경 무기질 불연바닥재 시험성적서 (0) | 2010.04.29 |
그린 푸로아 제품특성(2) (0) | 2010.04.19 |
그린푸로아 제품특성(1) (0) | 201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