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강섬유 숏크리트
1. 개 요
강섬유 shotcrete는 shotcrete의 인장 저항능력을 증대시키고 국부적인 균열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는 등 콘크리트의 강도와 역학적 거동 특성을 개선 및
보강하기 위해 불연속의 짧은 강섬유를 콘크리트 속에 균등하게 분산시켜
인장강도, 휨강도, 균열에 대한 저항성 등을 개선한 shotcrete를 강섬유 보강
shotcrete라 한다.
2. 재 료
2.1 시 멘 트
가. 시멘트는 KS L 5201에 적합한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
으로 한다.
나.? 가.?이외의 시멘트에 대해서는 소요의 품질을 얻기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 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2.2 혼화재료
2.2.1 급 결 제
가. 급결제는 액상형 또는 분말형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사용량은 5%를 표준으로 하며, 용수 등의 현장여건에 따라 적이 조정한다.
급결제의 사용량은 숏크리트의 장기강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필히 과다한
량이 사용되지 않도록 사용량과 장기강도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여야
한다.
다. 급결제는 초기강도 발현 및 장기강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며,
Rebound 량을 최소화 할 수 있어야 하고, 강재를 부식시키지 않아야
하며, 습기에 강하고 보존성이 좋아야 하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라. 급결제는 0℃이하에서 성능이 저하 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사용시
주의하여야 한다.
마. 급결제의 성능시험은 KS F 2436, KS F 2560 , ASTM C-494에 의거
시험해야 한다.
2.2.2 고유동화제
가. 고유동화제는 사용목적에 적합하고, 숏크리트 또는 급결제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하며, 사용하고자 하는 혼화제는 시험성적서를 제출하고
현장시험을 통하여 혼화제의 효과와 적정사용량을 확인한 후 사용여부에
대하여 감독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나. 혼화제는 동결의 영향이 없는 방습창고 또는 사이로에 저장, 입하순으로
사용한다.
다. 유동화제의 성능시험은 ASTM C-1017, AASHTO M-194에 의거 시험을
해야한다.
2.2.3 AE 감수제
가. 숏크리트의 워커빌리티를 개선하기 위하여 AE제, AE감수제 등과 같은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공사착수전에 품질확인후 감독원의 승인을
받고 사용하여야 한다.
나. AE감수제를 사용할 경우 시멘트양의 0.5%를 혼입 사용하여야 한다.
2.2.4 기타 혼화제
숏크리트 혼합물에 양생제를 첨가 사용할 수 있다.
2.2.5 기타 혼화재의 사용
가. 숏크리트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Silika Fume, 고로슬래그 또는
Flyash 등과 같은 혼화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전 혼화재료의 품질, 배합비 및 배합에 따른 혼합물의 강도의 영향 등을 충분히 고려한 시험을 실시하고 감독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나. 혼화재는 동결의 영향이 없는 방습창고 또는 사이로에 저장, 입하순으로
사용한다.
2.3 골 재
2.3.1 잔 골 재
가. 잔골재는 깨끗하고 단단하며,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져야하며 먼지,
흙, 유기 불순물, 염분 등의 유해량을 KS에 규정된 허용치 이상 함유
해서는 안된다.
나. 잔골재 입도표준은 아래표와 같다.
표 준 체 |
체를 통과한 중량 백분율(%) |
10mm 5mm 2.5mm 1.2mm 600㎛ 300㎛ 150㎛ |
100 95 ~ 100 80 ~ 100 50 ~ 85 25 ~ 60 10 ~ 30 2 ~ 10 |
2.3.2 굵은골재
가. 굵은골재는 깨끗하고 단단하며 내구적이고 적당한 입도를 가져야하며
얇은 석편, 가늘고 긴석편, 염분 등의 유해물 함량을 KS 규정 이상으로
함유해서는 안된다.
나.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3mm이하 이어야 한다.
다. 굵은골재 입도표준은 아래표와 같다.
표 준 체 |
체를 통과한 중량 백분율(%) |
19mm 13mm 10mm No.4 No.8 |
100 90 ~ 100 40 ~ 70 0 ~ 15 0 ~ 5 |
2.3.3 합성입도
표 준 체 |
체를 통과한 중량 백분율(%) |
19mm 13mm 10mm No.4 No.8 No.16 No.30 No.50 No.100 |
100 90 ~ 100 80 ~ 90 60 ~ 73 50 ~ 65 35 ~ 50 20 ~ 35 8 ~ 20 2 ~ 10 |
2.4 강섬유
2.4.1 강섬유의 분류
가.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ㅇ 강선을 절단하여 제조한 것(강선절단법)
ㅇ 냉연강판을 절단하여 제조한 것(박판절단법)
ㅇ 두꺼운 강판을 절삭하여 제조한 것(후판절삭법)
ㅇ 용강으로부터 직접 추출하여 제조한 것(용강추출법)
나. 강섬유 형상에 따른 분류
강섬유의 형상은 시멘트콘크리트 속에서 콘크리트와 부착력 및 인발에
대한 저항력과 같은 기계적인 특성에 많은 영향을 준다. 현재 콘크리트 의 보강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강섬유의 형상은 그림1과 같다.
(a) (b) (c) (d) (e) (f) (g)
(a) Round (b) Rectangular (c) Indented (d) Crimped
(e) Hooked ends (f) Melt extract process (g) Enlarged ends
그림 1. 강섬유의 형상에 따른 종류
2.4.2 강섬유의 조건
가. 분산성으로 콘크리트 내에 분산이 잘 되어야 한다.
나. 정착성으로서 콘크리트 내에서 빠지지 않고 견뎌야 한다.
다. 높은 인장강도로서 외부응력에 강력히 대응을 해야 한다.
3. 배합설계
가. slump : 혼화제 첨가후 8cm 이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12cm정도가 적정하다.
나. 배합을 정할때에는 부착된 숏크리트의 강도와 인성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리바운드를 최소로 하고 또 양호한 작업성을 갖도록 다음 항목에 대하여
결정해야 한다.
ㅇ 강섬유 혼입율은 40kg/m3 를 표준으로 하되 휨인성 시험 결과에 따라
혼입율을 조정하여야 한다.
ㅇ 물-시멘트비(W/C)는 50%이하로 하여야 한다.
ㅇ 굵은골재 최대치수는 13mm를 표준으로 한다.
ㅇ 잔골재율은 65%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ㅇ 단위시멘트량 : 건식 숏크리트에 비해 단위시멘트의 소요량이 많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압송기계의 능력, 골재입도 및 배합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인 경우 440~500kg/m3 이다.
ㅇ 급결제 : 시멘트 중량의 5%를 표준으로하되 급결제의 종류에 따라 사용량이 변동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최소로 첨가하여야 한다.
단, 지반조건, 타설부위, 용수조건 등에 따라 감독원의 승인을
얻어 증감할 수 있다.
다. 배합설계 순서
ㅇ 일반 시멘트콘크리트 배합설계요령에 의해 1차 배합설계하며, 강섬유
숏크리트는 휨강도로, 일반 숏크리트는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설계한다.
이때 위 조건들에 맞추어 유동화제를 첨가하고 급결제를 제외한 상태에서
공시체를 제작, 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배합비를 구한다.
ㅇ 현장에 숏크리트 장비가 갖추어진 후 위 배합비와 ±5% W/C를 변화시킨
시험배합을 통해 장비성능 등을 감안한 최종 배합비를 구한다.
이때는 급결제가 포함된 상태(표준 첨가량 5%)에서 시험하고 또한
공시체를 제작하며, 28일 휨강도에 의해 배합비를 구하며 최종 배합비를
결정한다.
ㅇ 장비 반입 후 최종 배합비 산정전 까지 1차 배합비에 급결제 사용으로
인한 강도저하를 감안 시멘트할증 10%를 가한 상태에서 배합 및 시공
한다.
4. 시 공
가. 계 량
B/P는 강섬유를 계량하기 위한 별도의 호퍼 및 자동계량기록장치를 설치
하여 계량오차를 최소화하여야 하고 계량오차는 ±3% 이내이어야 한다.
나. 혼 합
강섬유보강 shotcrete는 섬유의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섬유분산장치를
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혼합한다.
1) 굵은골재와 강섬유를 투입하면서 혼합한다.(투입시간:1~2분)
2) 잔골재․시멘트․물 및 혼화제를 투입한다.
3) 혼합시간은 시험에 의해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하되 완전히 혼합될때까지
1분간 혼합한다.
다. 시 공
1) 노즐직경
노즐직경이 크면 작업성은 좋으나 숏크리트의 리바운드율이 커지게
되므로 관이 막히지 않는 범위내에서 노즐직경이 작은 것이 좋다.
2) 압송압력
뿜어붙이기 압력은 호스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건식 숏크리트의
압송압력보다 높여주어야 한다.
그러나 압력이 너무크면 리바운드율이 커지므로 시험시공을 통해 적정
압력을 결정하여야 한다.
3) 두께
1회 뿜어붙이기 두께를 5cm 이내로 시공하여야 한다.
4) 기타 시공사항은 습식 숏크리트 시공에 준한다.
5. 품질기준
5.1 강섬유
가. 인장강도
절곡과 절손이 되지 않을 정도의 탄력성을 유지하여야 하고 70kg/mm2
이상이어야 한다.
나. 길 이
섬유의 길이는 30m/m를 표준으로 하며 노즐 직경의 70%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섬유가 너무 길면 뭉침 현상이 생기고 부러지거나 휘기 쉽고
워커빌리티가 나빠지며 너무 짧으면 shotcrete 속에서 제효과를 보기
힘들다.
다. 형 상 비
형상비는 강섬유 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ℓ/d)로서 40~100의 범위에
들어야 한다.
- 섬유의 길이는 섬유의 끝에서 끝까지의 직선거리로 측정한다.
- 직경(d)에 있어서 원형은 직경을 사용하고 원형이외의 경우에는 환산
직경을 사용한다.
라. 굽힘강도는 60℃이상의 온도에서 지름안쪽 90°방향(곡선반경 3.18m/m)
으로 굽혔을 때 부러지지 않아야 한다.
마. 규격측정은 10개이상의 견본을 무작위로 채취하여 시험하고 90%이상
합격하여야 한다.
바. 허용오차
길 이(%) |
직 경(%) |
형상비(%) |
±10이내 |
±10이내 |
±15이내 |
5.2 혼합물
가. 강 도
강 도 |
σbk (kg / cm2) |
비 고 | |||
8hr |
1일 |
3일 |
28일 | ||
휨 강 도 |
- |
21 |
30 |
45 |
|
압축강도 |
55 |
- |
140 |
200 |
나. 등가휨강도(휨인성계수)
등가휨강도(fe)는 재료 28일 이상에서 시험하여 시편의 처짐이 ℓ/150
(ℓ:지간길이, mm)이 될 때까지의 인성을 휨인성계수(Flexural Toughness
Factor)로 표시한 것이며 평균강도의 개념을 가진다.
이 등가휨강도는 휨인성 시험시에 측정된 최대휨강도의 68% 이상이어야
한다.
다. 섬유분산율은 95% 이상이어야 한다.
6. 품질시험
6.1 강섬유 인장강도 시험
6.1.1 시험 기구
가 인장시험기
인장시험기는 칭량 1kg을 잴 수 있는 것으로 변위제어형(變位制御型)
시험기를 표준으로 한다.
나 부착용 재크
시료부착용 재크는 평판용 재크를 사용한다.
6.1.2 시험
가 시료의 장착
시료의 상하 재크에의 장착은 그림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물림이
강섬유 길이의 1/3이 되도록 한다.
- 일반적으로 평판용 재크는 양단이 완전히 고정되기 때문에 하중의
작용선과 시료의 축선이 일치하지 않는경우 상하의 재크 부근에서
파단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림3. 시료의 장착
나 재하속도
재하속도는 변위제어형 시험기의 크로스 헤드 속도로 0.3mm/min를
표준으로 한다.
다 시료의 수
시료의 수는 5개 이상으로 한다.
라 강도의 계산
인장강도(δt)는 다음식에 의해 구한다.
P
인장강도(δt)= ──
A
P : 파단하중(kg) , A : 공칭단면적(mm2)
- 상하의 재크 부근에서 파단된 경우의 값은 제외한다.
6.2 휨․압축강도 시험
가. 압축강도
ㅇ시험방법
각 재료의 압축강도시험은 원주형(ψ15×30cm) 또는 15×15×15cm
정육 면체로 제작된 공시체를 KS F 2405(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한다.
ㅇ시험범위
강섬유를 사용치 않는 일반 숏크리트에 대해 시험한다.
나. 휨 강 도
ㅇ시험방법
각 재료의 휨강도 시험은 몰드(15×15×53cm)에서 채취한 시편 또는 휨인성 시험에서와 같이 제작한 시편(10×10×35cm)을 대상으로
KS F 2408(콘크리트의 휨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한다.
ㅇ시험범위
강섬유를 혼입한 숏크리트에 대해 시험한다.
6.3 휨인성시험
6.3.1 공시체의 제작
가. 모서리가 45°로 경사진 500×500×125mm의 목재나 강재 거푸집을 수직
으로 세워서 숏크리트를 친후 양생한다.
나. 숏크리트를 친후 24시간이내에 몰드에 충격을 주어서는 안된다.
다. 시료채취 방법
공시체의 떼어내기는 숏크리트를 친후 24시간이상 48시간 이내이어야
한다. 숏크리트를 친후 재령 6일에 콘크리트 절삭기를 사용하여 규정된
치수(100×100×350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한다.
시편은 거푸집의 모서리를 피해서 채취하여야 한다.
그림1. 시편제작 몰드
라. 양 생
시편제작 전후 수조에서 양생시킨후에 재령 28일에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6.3.2 시험기구
가. 시험기는 KS B 5533(압축시험기)에 규정한 것으로 휨시험장치의 부착이
가능하며 최대용량이 100t 이하인 유압식으로 하중이나 변위를 자동으로 제어 할 수 있는 기기를 표준으로 한다.
나. 휨시험 장치
3등분점 하중을 재하하기 위한 장치는 소정의 처짐량까지 공시체의
변형을 다소라도 구속하는 구조이어서는 안된다.
- 그림 2는 시험장치의 원리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지점은 공시체의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하 1조의 로울러(지름 30mm 정도)를 사용
한다.
그림 2. 휨인성 장치
다. 처짐측정장치
공시체의 하중-처짐곡선을 구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처짐측정장치는
전기적인 변위계 및 이를 고정시키는 기구로 구성되며 미세한 처짐
변위까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그림 3은 처짐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3. 처짐 측정장치
6.3.3 시험방법
가. 공시체는 지점의 폭 중앙에 두고, 스팬의 3등분점에 상부가압장치를 접촉
시킨다. 이때 재하장치의 접촉면과 공시체와의 사이에 틈이 있어서는
안된다.
나. 스팬은 공시체 높이의 3배로 한다.
다. 공시체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중을 가하며, 처짐을 측정하는 경우
에는 처짐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재하해야 한다.
기타 제반사항은 ASTM C 1018에 준한다.
라. 공시체가 파괴되기까지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하중을 유효숫자 3자리
까지 읽는다.
마. 파괴단면의 폭은 3개소에서 0.2mm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유효숫자
4자리까지 구한다.
바. 파괴단면의 높이는 2개소에서 0.2mm까지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유효숫자
4자리까지 구한다.
사. 휨인성의 값은 3개 이상의 시험체의 평균치로 나타내며 3개의 시험결과중 2개 이상이 설계기준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이 설계기준의 85%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6.2.4 결과의 계산
가. 휨 강 도
공시체의 인장측 표면의 스팬방향 중심선의 3등분점 사이에 파괴되었을
때 휨강도는 다음식으로 계산하여 유효숫자 3자리까지 구한다.
P :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하중(kg)
ℓ: 스팬(cm)
b : 파괴단면의 폭(cm)
h : 파괴단면의 높이(cm)
공시체가 인장측 표면의 스팬방향 중심선의 3등분점 외측에서 파괴된
경우는 그 결과를 무효로 한다.
나. 휨 인 성
1) 휨인성은 등가휨강도(휨인성 계수)로 나타낸다.
2) 그림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하점의 처짐이 스팬ℓ의 1/150이 되기
까지의 하중-처짐곡선 아래의 면적(TB)을 유효숫자 3자리까지 구한다.
그림 4. 하중-처짐 곡선
3) 등가휨강도는 다음식으로 계산하여 유효숫자 3자리까지 구한다.
ℓ : 스팬(cm)
b : 6.3.3 마.로 구한 파괴면적의 평균폭(cm)
h : 6.3.3 바.로 구한 파괴면적의 평균높이(cm)
6.4 강섬유 혼입량 시험
가. 시험기구
1) 저울은 용량 10kg 또는 그 이상으로 1g까지 계량할 수 있는 것
2) 용기는 수밀성이 있으며 용량은 7ℓ, 바닥은 둥근 모양인 것
3) 물탱크는 용기 전부를 넣어도 충분한 크기인 것
나. 시료
1) 시료는「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강도 및 인성시험용 공시체의
제작방법」에 준하여 대형 판넬에 뿜어붙인 SFRC 또는 실구조물에
뿜어붙인 SFRC를 바로 떼어낸 것을 사용한다.
- 시료는 가능한 전체의 품질을 대표할 수 있도록 5~20cm의 두께로
잘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시료는 약 10kg으로 하고 2회 이상의 측정을 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한다.
다. 시험방법
1) 용기의 공기중 중량(W1)을 측정한다.
2) 용기의 수중 중량(W2)을 측정한다.
3) 약 4ℓ의 시료를 용기에 넣어 공기중 중량(W3)을 측정한다.
4) 용기에 넣은 시료에 약 1.5ℓ의 물을 가해 휘저어 시료중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휘젓기를 완료한 다음 약 5분간 정치한 후 용기에 넣은 그대로 시료를
수중에 넣어 전체의 수중 중량(W4)을 측정한다.
5) 수중중량을 잰 시료는 물을 가하면서 씻어 강섬유 만을 수집한다.
수집시 자석을 사용하면 작업이 용이하다.
6) 강섬유를 건조시켜 그 중량(Wsf)을 측정한다.
라. 결과의 계산
1) 시험결과는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Wc = W3 - W1
1
V = ── (W2+W3-W1-W4)
ρw
Vc = V - Vsf
Wsf
Vsf = ───
ρsf
다만, Wc : 공기를 뺀 SFRC의 중량(g)
V : 공기를 뺀 SFRC의 체적(cm3)
Vc : fiber를 뺀 con'c의 체적(cm3)
Vsf : 시료중의 강섬유의 체적(cm3)
ρsf : 강섬유의 단위중량 (g/cm3)
- 일반적으로 강섬유 단위중량은 7.85g/cm3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2) 강섬유 혼입량의 계산
강섬유 혼입량의 측정은 2회 실시하고 2회 측정치가 다음 조건을 만족
하는 경우 그 평균치를 강섬유 혼입량으로 한다.
ㅣ Vsf․ρsf - Wsf′ㅣ ≤ 0.05 Wsf′
Wsf : 1m3당 섬유 투입량(kg/m3) : 보통 40kg/m3
Wsf×Vc
Wsf ′: ─────, 계획된 시료중의 강섬유 중량
1m3
Wsf″: 채취된 시료중의 강섬유 중량(Vsf․ρsf)
6.5 두께관리
가. 숏크리트의 두께는 설계두께를 기준으로 하여 검측된 평균 두께가 설계
두께보다 같거나 두꺼워야 하며 검측된 최소두께는 설계두께가 75% 이상
이어야 한다.
나. 두께의 확인은 원칙적으로 검사공에 의해 실시하며 터널연장 20m당
아치부 5개소, 측벽좌우 1개소로 하며 원형 봉강핀을 이용할 경우
감독원과 협의를 거쳐 적정 비율로 관리할 수 있다.
다. 두께확인 검사공은 Percussion Diamond Drill에 의해 실시하며 검사공은
지름이 32mm 이상으로 착공해야 한다.
라. 측정결과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 좌우 5m범위내에서 재측정하고 이때에도
판정기준에 미달하면 그 표본면적으로 대표된 전면적을 설계두께 이상
되도록 보완 시공하며 이때의 최소두께는 3cm 이상으로 한다.
6.6 시공후의 코아 채취
시공된 숏크리트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코아채취 시험을 시행하여야
한다.
가. 시료채취 방법
터널내에 뿜어붙여진 숏크리트로 부터 코아 보링머신(Core Boring Machine)
에 의해 1회 시험당 3개의 시료(ψ10×20cm, 또는 ψ5×10cm)를 채취한다.
나. 시험재령
28일 기준으로 하여 강도 확인하고 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다. 시험방법
1) KS F 2422(콘크리트에서 절취한 코아 및 보의 강도시험 방법)에 준하여
공시체에 양단면은 콘크리트 절삭기 등으로 직각으로 절단하거나 KS F
2403에 준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로 캡핑해야 한다.
2) 코아 지름에 대한 공시체의 높이(숏크리트 두께)에 따라서 압축강도 시험 결과를 보정하여야 한다.
라. 판정기준 및 재시험
1) 동일위치에서 채취한 3개 코아의 압축강도 평균치는 설계기준강도의
85% 이상이어야 하며 설계 기준강도가 휨강도일 경우에는 압축강도로 환산하여 판정하여야 한다.
2) 3개중 2개 이상은 설계기준강도 85% 이상이어야 하며 1개 이상이 기준
강도의 72%보다 작아서는 안된다.
3) 1차 시험에서 미달되는 구간은 좌우 5m의 범위내에서 재시험용 코아를
채취하여 상기와 같은 기준으로 판정하고, 재시험 결과가 판정 기준에
미달시에는 재시공하여야 한다.
6.7 반발율의 측정
현장에서 숏크리트를 시행하고 시트위에 떨어진 콘크리트(반발재)를 계량하여
다음 식에 의해 반발율을 산출하여야 한다.
반발재의 전중량
반발율 = ??????????????????????????? × 100 (%)
뿜어붙임용 재료의 전중량
6.8 시험종목 및 빈도
가. 숏크리트에 사용되는 모든 자재는 사용전에 품질시험을 실시한 후에 사용
하여야 한다.
나. 시험종목 및 빈도
품 목 |
시 험 종 목 |
시 험 빈 도 |
급 결 제 |
비중, 압축강도비, 고형분 응결시간, PH, CL, IR |
제조회사별 3개월이상 저장하여 재질의 변화가 있다고 인정되는 때마다. |
유동화제
|
ASTM C - 1017 AASHTO M - 194의 규정 항목 | |
강 섬 유 |
인장강도, 형상비 |
40톤마다 |
휨시험, 육안검사 |
반입시 마다 | |
숏크리트 혼 합 물 |
숏크리트 두께의 관리 콘크리트 부착상황 리바운드 상태 |
숏크리트 시공시에는 매일 |
코아채취 시험 |
1회/20m(3공/1회) | |
휨인성, 혼입량 |
1회/1000m2 또는 1회/10일 | |
압축강도 |
1회/200m2 또는 1회/10일 | |
휨 강 도 |
1회/100m2 |
다. 기타 시험의 종목 및 빈도는 건기법에 따라 시행하여야 한다.
7. 시공시 유의사항
ㅇ slump가 커지게 되면 리바운드가 커지게되고 따라서 1회 타설 shotcrete
두께가 얇아지고 강섬유 탈락율이 커지게 되므로 slump 관리에 유의
하여야 한다.
ㅇ 여굴된 부분의 shotcrete는 1회에 전량 시공치 말고 적정 횟수로 나누어 시공하여야 한다.
ㅇ shotcrete 타설후 숏크리트면 밖으로 돌출된 철선은 방수sheet 설치전
제거하여야 한다.
ㅇ 강제식 믹서로 혼합할 경우에 1회 비비기 양을 믹서용량의 100%로
하여도 비비기가 가능하지만 전력부하가 과다하여 장비 손상이 우려되니
1회 혼합량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ㅇ 공시체는 shotcrete 유출량이 일정하게 될때 제작하여 균질한 공시체를
제작할수 있다.
ㅇ 리바운드량의 조정을 급결제의 양으로 조정하여서는 안된다
(배합설계, 장비등 시공방법 개선)
ㅇ 일반적인 숏크리트 장비의 타설용량이 7-15m3/hr(설계:13m3/hr)이므로
노즐 규격을 확대하여 타설용량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 : 개정 및 보완된 부분